종강한지 일주일이 채 안됐는데 디지털회로설계쪽으로 진로를 잡다보니 방학때 한 번 관련된 내용을 정리를 해봐야 할 것 같아서 전공 내용 공부랑 C/C++를 remind하고 블로그에 정리를 쭉 할 생각이다. 학기중에 정리를 해보려했지만 쉽지 않은 것을 깨닫고 방학때 해야겠다라는 생각은 가지고 있었는데 더 늦지않게 오늘부터 조금씩 해나갈 생각이다.
논리회로는 20년도 1학기에 처음 배웠으니 너무 오래전이긴하지만 그래도 HW design Engineer가 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선정하였다.
이제 시작을 해보자.
우선, Digital이라는게 무엇일까?
Chat GPT에게 물어보면, 디지털(Digital)은 정보를 이진수(0과 1) 형태로 표현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디지털 시스템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가 아닌 이산적인 값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합니다. 즉, 디지털 정보는 두 가지 상태(0과 1)를 이용해 모든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라고 답변을 해준다.
즉, 실생활의 전자기기들은 Analog로 소통할 수 없기 때문에 binary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게 된다.
예를 들어, 내가 키보드를 딱 쳤을때, IO port를 거쳐 모니터에 출력된 화면을 보기까지의 그 사이 과정 전부는 Digital로 컴퓨터가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현대사회에 필수적인 개념이 된다.
그렇다면, 아래 그림을 한 번 보자.
이 디지털 회로를 사용한다는 것은 Input과 Output으로 Voltage Signal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input값으로 왜 Binary number를 쓰게되는걸까?
그 이유는 Noise때문이다.
1.4V를 input값으로 그냥 Analog 신호로 넣어버린다면, 이 때 잡음이 껴버리면 Processing 과정에서 input값으로 원하는 값을 사용하지 못하게된다.
이에반해 multy bit을 이용하여 이 1.4V를 표현하게 되면 각 자리에 잡음이 끼더라도 내가 원하는 값을 Processing과정의 input값으로 넣을 수 있게 된다.
'공부 > 논리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gic circuit_6 : Sequential Logic(1) (0) | 2025.01.15 |
---|---|
Logic_Circuit_5-Combination Logic(2)-Multiplier (0) | 2025.01.14 |
Logic circuit_4: Combination Logic(1) (0) | 2025.01.06 |
Logic Circuit3: Gate_Optimization (0) | 2025.01.04 |
Logic Circuit_2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