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부/DSP

(7)
DSP_7 - DFT 벌써 DSP 7번째 포스팅이다.현재 Y = HX에서 X에대해 정리하고 있으며 지난 포스팅까지는 time domain에서 sampling을하면 어떻게 되는지, 복원에 대한 내용까지 알아보았다.이번 포스팅에서는 time domain에서 sampling한 주파수domain에서의 결과에서 sampling을 한 번 더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 것이다. https://ksh9-9.tistory.com/11 Digital Signal Processing_5 - Sampling_2전 포스팅에서 예고했던대로 오늘은 time domain에서 sampling을 할때 freq domain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실제 예시를 들고 nyquist theorem이 왜 필연적인지 설명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예시ksh..
Digital Signal Processing6- Reconstruction 마지막 DSP 포스팅에서는 time domain에서 sampling을하면 freq domain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실제 예시를 들어 알아보았다.이번 포스팅에서는 Reconstruction에 대해 정리를 해 볼 생각이다.A라는 사람이 어떤 신호를 sampling해서 freq domain에서 보냈다고 가정해보자.B라는 사람이 이 신호를 freq domain에서 수신 후 time domain에서 사용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에 관련된 내용이 바로 Reconstruction이다. "복원"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이전 포스팅 내용들을 봤다면 알겠지만, time domain에서 sampling을하면 freq domain에서는 신호 진폭만 조금 달라지고 주기를 가진채 무한히 반복된다는것을 알 수 있다.이 ..
Digital Signal Processing_5 - Sampling_2 전 포스팅에서 예고했던대로 오늘은 time domain에서 sampling을 할때 freq domain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실제 예시를 들고 nyquist theorem이 왜 필연적인지 설명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y(t)를 Fourier Transform을 할 때의 freq domain을 살펴 볼 것이다. convolution을 그래프를 이용해 활용하면 직관적으로 편하게 볼 수 있으므로, 미리 x(t)의 fourier transform을 확인해보자. 예전 포스팅에서 convolution의 physical한 의미는 inner product + shift라고 말한 적이 있다.위와같은 X(w)를 convolution 해보면, 이런 결과를 얻을 수 있다.convolution을..
Digital Signal Processing_4 - Sampling DSP 4번째 포스팅이다. 지난 포스팅에는 freq domain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확인해보았고, 오늘은 sampling에 대해 포스팅 할 생각이다. (아마 3번에 나눠 포스팅 할 것 같다.) Sampling이란 무엇인가? Analog 신호를 Digital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컴퓨터는 연속신호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산신호로 바꿔주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때 사용하는 개념이 Sampling인 것이다. 예시로, 온라인 게임을 해 본 사람들은 FPS가 무엇인지 알 것이다. frame per sec를 의미하는 이 단어는 높을수록 화면이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이 fps가 sampling을 이용한 것이다. Sampling에는 두가지 관점의 sampling이 있다.1...
Digital Signal Processing_3- Freq Domain Analysis 정말 오랜만에 DSP 내용을 정리해보려고한다. (종강도 했으니 이제 자주 업데이트할 예정이다.)앞으로 정리할 내용들에 대해 Preview 후, 1,2번째에 다뤘던 내용들을 Review후 오늘의 주제에 대해 다뤄보겠다. DSP는 한줄로 적으면, Y=HX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다.LTI system에서 y[n] = h[n] * x[n]이라는것을 신호및시스템을 공부한 사람들이라면 다들 알 것이다. 이 때, freq domain에서 바라보면 Y(w) = H(w)X(w)이다. time domain상 convolution은 freq domain에서 곱하기가 되는것인데,내가 앞으로 정리할 내용은 여기에서 X와 H에 관한 내용들이다. DSP의 Digital Signal에 해당하는 X와 Processing에 해당하는 H에..
DSP_2 이전 글에서 언급한대로 오늘은 fourier transform의 몇가지 property들을 정리해볼 생각이다.글을 쓰기에 앞서 우리는 이 퓨리에 변환을 왜 알아야하는지 간단히 언급하고 가겠다.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에서 과거에는 신호를 수신할 때 Equalization이라는 원래 signal을 검출하는 기술을 사용했었다. input signal과 channel impulse response를 convolution하여 output을 내었는데 이 모든 과정은 time domain에서 이루어졌었다. 어떠한 신호가 수신되었을때 원래의 신호뿐만 아니라 엄청나게 많은 신호들이 섞여 하나의 신호가 수신되는데, 이것을 송신측에서 보낸 신호를 time domain만을 이용하여 복원하기는 굉..
Digital Signal Proccesing_1 서론)우선 디지털 신호처리는 보통 2학년때 배우는 신호 및 시스템의 후수 과목으로 필자는 20년도에 신시를 들어 해당 과목의 기억이 거의 없는 상태로 수업을 들었다. 그때 당시에는 시험을 위한 공식을 엄청 많이 외우고 시험을 봐서 A+이 나오긴 했는데 정말 재미없다고 생각을 했고 실제로 시험이 끝난 후 며칠 안되어서 내용을 다 까먹었던걸로 기억을한다. 그런데 이번 dsp과목을 가르치는교수님은 수업을 할 때 증명도 다 해주셨지만, 현상을 physically하게 바라볼 수 있게 수업을 진행하셨고 필자 또한 정말 깊은 감명을 받으며 속으로 기립박수를 치며 공부를 하였다.  앞으로 매주 무엇을 공부했는지 차례대로 정리해볼 생각이다.:) 본론)첫번째 수업으로 과목명 즉, Digital Signal Proccesi..

728x90